\r\n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환경보건정책 심포지엄 |
\r\n
\r\n
\r\n
\r\n
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\r\n
\r\n 시 간 | \r\n 내 용 | \r\n 발 표 자 |
\r\n 13:30 - 14:00 (30′) | \r\n 등 록 | \r\n |
\r\n 14:00 - 14:05 (5′) | \r\n 인 사 말 | \r\n 김상범 행정1부시장 \r\n (서울시) |
\r\n 1부 (55′) | \r\n 환경보건의 이해와 정책방향 | \r\n |
\r\n 14:05 - 14:20 (15′) | \r\n 환경보건분야의 현안과 학술적, 실천적 과제 | \r\n 최경호 교수 \r\n (서울대 보건대학원) |
\r\n 14:20 - 14:35 (15′) | \r\n 환경보건법의 의미 및 한계와 지자체 역할 | \r\n 박종원 연구위원 \r\n (한국법제연구원) |
\r\n 14:35 - 14:50 (15′) | \r\n 서울시 환경보건정책에 따른 연구원 대응방안 | \r\n 채영주 원장 \r\n (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) |
\r\n 14:50 - 15:00 (10′) | \r\n 휴 식 | \r\n |
\r\n 2부 (50′) | \r\n 함께 지키는 환경과 건강공동체 서울 | \r\n |
\r\n 15:00 - 15:10 (10′) | \r\n 서울시와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과의 \r\n 공동노력에 대한 동영상 방영 | \r\n 고혜미 방송작가 |
\r\n 15:10 - 15:20 (10′) | \r\n 공동체적 대안 모색의 필요성과 방법 | \r\n 김신범 실장 \r\n (노동환경건강연구소) |
\r\n 15:20 - 15:40 (20′) | \r\n 서울시와 시민단체의 환경보건정책 협력방안 제안 | \r\n ? 이지현 사무국장 (환경재단어린이환경센터) |
\r\n | \r\n | \r\n ? 서정리 팀장 \r\n (iCOOP소비자활동연합회) |
\r\n 15:40 - 15:50 (10′) | \r\n 마을공동체에서의 환경보건 실천사업 발표 | \r\n 임후상 집행위원장 \r\n (송파시민연대) |
\r\n 3부 (30′) | \r\n 패널 토의 | \r\n |
\r\n 15:50 - 16:20 (30′) | \r\n 서울시 환경보건정책 발전방향 | \r\n ? 정 권 대기환경팀장 \r\n (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) \r\n ? 임영욱 교수 \r\n (연세대학교 의과대학) \r\n ? 안연순 교수 \r\n (동국대학교 의과대학) \r\n ? 권호장 실장 \r\n (서울의료원 아토피연구실) \r\n ? 김민선 사무국장 (아이건강국민연대) \r\n ? 신재은 정책팀장 (서울환경연합) |
\r\n
|